MumuandSander

MumuandSander

  • All View (416)
    • * (323)
      • collection (118)
      • poetry (98)
      • interior (4)
      • scrap (103)
    • coding tutorial (93)
      • Java Script (39)
      • HTML (11)
      • CSS (24)
      • Computer Science (6)
      • Network (10)
      • Git, GitHub (2)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MumuandSander

    컨텐츠 검색

    태그

    제주오름투어 제주 콘테나프로젝트 제주오름프로젝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coding tutorial/Java Script(39)

    • [JS] getElementById 와 querySelector 차이점

      getElementById()는 무엇인가? element = document.getElementById(id); id를 통해 엘리먼트를 반환한다. 만약 document에 구체적인 ID의 엘리먼트가 없다면 null을 반환한다. querySelector()는 무엇인가? element = document.querySelector(selectors); selector의 구체적인 그룹과 일치하는 document안 첫번째 엘리먼트를 반환한다. 일치하는게 없으면 null반환한다. querySelector vs selectElementById 위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우리는 username 요소를 얻고 싶고 이를 변수에 할당하고 싶다. 첫번째로 getElemenyById를 통해 해보자! var userna..

      2022.07.03
    • [JS] 배열 기초편

      자료형에는 문자열, 숫자와 같이 배열이 있다. 배열은 대괄호로 표기하고 배열 순서인 인덱스값은 0부터 시작함. ex) let array = [1, 2, 3]; 아래와 같이 자료형(숫자, 문자열, 객체 등)이 달라도 한 배열로 쓸 수 있다. ex) let array2 = ["one", 2 "three", 4]; 배열 생성 방법 1. 빈 배열[] 선언 후 값을 넣어주는 방법. 배열 생성 방법 2. new 연산자와 내장 함수인 Array를 이용하여 배열 객체를 만드는 방법 ( 변수 = new Array(값); ) 배열 메서드 .push() : 배열 마지막에 값을 추가 pop() : 마지막 배열값을 빼는 함수 pop으로 제거한 값을 변수에 넣어 저장할 수 있다. .unshift() : 맨 앞 배열값을 넣는 함수..

      2022.06.18
    • [JS] 반복문과 조건문

      반복문 반복문 1 : for 문을 이용 반복문 2 : while 을 이용 while의 경우 무한 루프의 가능성이 있어 조심히 사용해야 함. 조건문 조건문 1 : if, else if, else 조건문 2 : switch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지정해줄 때 사용 case 마다 뒤에 break 키워드로 걸어줘야 함.

      2022.06.18
    • [JS] 객체 기초편

      객체 (Object) 객체는 내가 원하는 자료형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붕어빵 틀과 같다. 기본 형태 : let Object = { key : value , key2 : value } key : value 를 묶어 property라 부름. 객체 내 함수는 'method'라 부름. 객체 특정 key에 접근: 점 ( . ) or [''] ex) mumumom.name // 'sander' ex) mumumom['age'] // 29 객체 프로퍼티 추가 ex) mumumom.gender = 'Female'; ex) mumumom['haircolor'] = 'black'; 객체 삭제: 삭제하고 싶은 프로퍼티 앞에 붙여줌 ex) delete mumumom.age; object 단축 프로퍼티 ex) object ..

      2022.06.18
    • [JS] 함수 기초편 : 함수 선언문,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함수 기초편 1. 함수 선언문 지역 변수 : 함수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변수 전역 변수 : 함수 바깥에서 작성된 변수 지역변수와 전역변수의 함수명은 중복으로 가능은 하다. 다만, 매개변수로 받은 값은 복사된 후 함수의 지역 변수가 된다. 전체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바라봐야 하는 변수를 제외하고는 지역 변수를 사용하는 게 좋다. 이는 전역변수가 많아지면 관리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함수에 특화된 지역변수로 가급적 사용할 것. return은 리턴 좌측에 있는 값을 반환하며 즉시 함수를 종료한다. 그래서 함수를 종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함. 2. 함수 표현식 이름이 없는 함수 앞에 변수로 식별자를 만들어줌. let sayHello = function(){ console.log('Hello') } [선언..

      2022.06.18
    • [JS] 구조 분해 할당 (Destructuring assignment)

      2022.06.17
    이전
    1 2 3 4 5 6 7
    다음
    © 2023 Ye-jin Ki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