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muandSander

MumuandSander

  • All View (416)
    • * (323)
      • collection (118)
      • poetry (98)
      • interior (4)
      • scrap (103)
    • coding tutorial (93)
      • Java Script (39)
      • HTML (11)
      • CSS (24)
      • Computer Science (6)
      • Network (10)
      • Git, GitHub (2)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MumuandSander

    컨텐츠 검색

    태그

    콘테나프로젝트 제주오름프로젝트 제주 제주오름투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coding tutorial/Git, GitHub(2)

    • [Git/GitHub] Git, GitHub 기본적인 명령어 총정리

      0. 개요 "Git"은, 로컬 버전 관리 시스템 VCS(Local Version Control System)을 위한 툴. 여기서 'Local' 이라 함은 내 컴퓨터를, '버전 관리 시스템' 이라는 건 내가 수정했던 내용들, 즉 히스토리를 모두 기록해두는 것을 의미한다. Git을 이용해 프로젝트의 시간/버전(commit)과 차원(branch)을 관리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시간 여행을 하고 여러 차원을 넘나들 수 있게 함. 명령어와 관련된 추가적인 내용은 git 공식 사이트 참고 : https://git-scm.com/docs "GitHub"는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의 원격 저장소로, '로컬'이 아니라 '클라우드'에서 관리되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Git으로 관리되는 모든 프로젝트들을 온라인 공간..

      2022.08.03
    • [gitHub] 로컬에서 원격저장소로 파일 업로드하는 방법 (add, commit, push)

      git add(변경사항 저장) ▶ git commit(변경사항 확정) ▶ git push(원격저장소에 업로드) ▶ git add git add - 다음 변경(commit)을 기록할 때까지 변경분 모아놓는 작업 git add 파일명 git add . // 전체 add (점(.)은 모든 것을 의미) git add *.txt // 모든 txt 파일 업로드 git add project/app/*/ //디렉토리 업로드 git add --update // 현재 git이 추적하고 있는 파일들만 add ▶ git status git status -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와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의 상태를 확인 위에서 add 명령어로 staging area에 들어간 test.tx..

      2022.08.03
    이전
    1
    다음
    © 2023 Ye-jin Ki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