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muandSander

MumuandSander

  • All View (416)
    • * (323)
      • collection (118)
      • poetry (98)
      • interior (4)
      • scrap (103)
    • coding tutorial (93)
      • Java Script (39)
      • HTML (11)
      • CSS (24)
      • Computer Science (6)
      • Network (10)
      • Git, GitHub (2)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MumuandSander

    컨텐츠 검색

    태그

    제주오름프로젝트 제주오름투어 콘테나프로젝트 제주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coding tutorial/Java Script(39)

    • [JS] 프로미스(Promise)

      Promise 는 new 연산자로 호출하여 사용 첫번째 인수는 성공 했을 때, 두번째 인수는 실패했을 때 실행되는 함수. const pr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코드 }); 이렇게 어떤 일이 완료된 후 실행되는 함수를 callback 함수라고 한다. new Promise 생성자가 반환하는 promise 객체는 state 와 result를 프로퍼티로 받는다. new Promise state: pending(대기), result: undefined resolve(value) state: fulfilled(이행됨), result:value 이때 result 는 resolve 함수로 전달된 값 reject(error) state: rejected(거부됨), resu..

      2022.07.26
    • [JS] 클래스(Class)

      ES6 부터 클래스를 이용하여 객체 리터럴을 만들 수 있다. class 키워드 뒤 클래스명 첫문자는 대문자로 작성 constructor 내부에 프로퍼티를 넣어줌. 아래 예제 showName 함수처럼 바로 작성 시 객체 내부가 아닌 객체 내 프로토타입 내부에 위치하게 됨 new 키워드를 이용하여 호출하는 것은 생성자 함수와 동일하나, new 연산자 없이 클래스 호출시 error 발생 ㄴ 생성자함수의 경우 new 연산자를 제외시켜 호출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 생성자 함수의 경우 prototype 을 사용하여 포로토타입 내부로 위치 시키면 결과는 유사해 보이나, class로 생성한 객체 리터럴의 경우 prototype > constructor 내부에 "class"가 명시되는 점이 다름 for( ... in ..

      2022.07.26
    • [JS] 상속, 프로토타입(Prototype)

      __proto__ 라는 객체는 프로토타입이라고 한다. 객체에서 프로퍼티를 읽으려고 하는데, 없으면 여기에서 찾는다. 프로토타입이 동작하는 방식을 알기 위해 상속 이란 개념이 필요하다. 중복되는 공통된 프로퍼티를 프로토타입으로 만들어 해결할 수 있다. for(.. in ...) 으로 순회하여 프로퍼티 확인 시 상속된 프로퍼티들이 모두 나옴. for in 문에서 구분하고 싶으면 .hasOwnProperty를 사용하면 됨. Object.keys() 나 Object.values() 등 메서드를 사용하면 상속된 프로퍼티는 나오지 않음 생성자 함수를 이용한 프로토타입 상속 클로저를 이용하여 생성될 당시의 컨텍스트를 기억하게 하기 - 조회만 가능하고 수정하지 못하게.

      2022.07.26
    • [JS] setTimeout, setInterval, clearTimeout, clearInterval

      setTimeout(fn, 시간, (인수));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함수를 실행 setInterval(fn, 시간, (인수));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함수를 반복 setTimeout 과 사용 방법이 같다. 주의: delay time을 0으로 줘도 바로 실행되지는 않는다. 이유는 현재 실행중인 스크립트가 종료된 이후 스케쥴링 함수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브라우저는 4ms 의 지연시간을 가진다. clearTimeout(tId); clearInterval(tId); 예정된 작업을 없앤다. setTimout, setIntarval 은 time ID를 반환(return값)하는데, 이것을 이용해 스케쥴링을 취소할 수 있다.

      2022.07.25
    • [JS] 나머지 매개변수(Rest parameters), 전개 구문(Spread syntax)

      함수의 매개변수로 들어온 인수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1. argument로 접근하는 방법 함수로 넘어온 모든 인수에 접근 함수 내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 변수 Array 형태의 객체(유사 배열)이며 length, index 사용 가능 배열의 내장 메서드는 사용할 수 없다 (forEach, map 등) 2. 나머지 매개변수 (Rest Parameters) 함수 호출 시 인수 개수를 신경쓰지 않을 수 있음 함수 호출 시 배열 형태로 출력 배열이므로 배열 메소드들을 사용할 수 있음 주의: 나머지 매개변수는 항상 마지막에 위치해야 함 전개 구문(Spread syntax) 배열 객체

      2022.07.25
    • [JS] DOM(Document Object Model) tree와 Node

      2022.07.04
    이전
    1 2 3 4 5 6 7
    다음
    © 2023 Ye-jin Kim

    티스토리툴바